DS의 시스템LSI사업부 IC설계를 DMC로 넘겨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DS의 시스템LSI사업부는 대량생산용 전략IC를 위한 설계를 전담하고, 전술적으로 DMC의 각 세트사업부에 설계파트를 보강해서 여러 IC설계가 이뤄지면 DS가 지원(서비스)하는 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삼성이 갖추려고 하는 파운드리사업의 기본이 되고 전술IC가 전략IC로의 변환도 이뤄질 수도 있게 된다.
세트사업부문에서 검토하는 IC와 부품사업부문에서 보는 IC는 다를 수 밖에 없다. 기껏 DS에서 공들여 IC를 개발해 놓고 DMC에 제안해 봐도 시큰둥한 반응이 옴은 이익도 별로인데 세트부문을 번거롭게 하기 때문이다. 개발초기단계부터 부품과 세트간 업무협조가 이뤄지지 않는 현 조직체계로는 한계가 있고,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설계파트를 DMC로 넘김으로서 설계이익을 돌려주고 DS의 부품IC설계비용을 분담하면서 시너지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가장 급한 부문은 역시 AP프로세서다. 'A'가 응용(application)인데 부품에서 끌어안고 있으니 더딜 수 밖에 없다. 전략적으로 미는 AP와 다르게 전술적인 다양한 AP도 갖춰야 한다. 또, DMC에서 보는 AP는 DS에서 기획하고 설계한 AP의 그것과 다를 수 있다. 설계IP의 전파와 설계사관학교역할을 DS가 담당하고 DMC(세트)에서 아이디어를 담아내 DS(부품)로 리턴해 주면 DS의 애플 해바라기형 사업구조도 개편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삼성 내의 세트사업부 마다 설계팀이 갖춰지면 내부파운드리 만으로도, 매각하지 못해 곤란한 처지에 빠졌다는, 8인치 웨이퍼 10만장 캐파 팹 하나 쯤은 충분할 것이다. 아예 8인치 팹을 세트사업부 또는 DMC로 넘겨도 될 듯하다. DS에서의 반도체 R&D팹과 DMC의 R&D 팹은 저 마다 다르게 운영될 것이다.
어쨋든, 애플 해바라기 보다는 DS와 DMC의 공조가 더 보기 좋은 것이다. 상호 윈윈을 가져올 수 있으니 DMC에서도 마다 할 이유가 없다. 09-22 08:15
세트사업부문에서 검토하는 IC와 부품사업부문에서 보는 IC는 다를 수 밖에 없다. 기껏 DS에서 공들여 IC를 개발해 놓고 DMC에 제안해 봐도 시큰둥한 반응이 옴은 이익도 별로인데 세트부문을 번거롭게 하기 때문이다. 개발초기단계부터 부품과 세트간 업무협조가 이뤄지지 않는 현 조직체계로는 한계가 있고,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설계파트를 DMC로 넘김으로서 설계이익을 돌려주고 DS의 부품IC설계비용을 분담하면서 시너지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가장 급한 부문은 역시 AP프로세서다. 'A'가 응용(application)인데 부품에서 끌어안고 있으니 더딜 수 밖에 없다. 전략적으로 미는 AP와 다르게 전술적인 다양한 AP도 갖춰야 한다. 또, DMC에서 보는 AP는 DS에서 기획하고 설계한 AP의 그것과 다를 수 있다. 설계IP의 전파와 설계사관학교역할을 DS가 담당하고 DMC(세트)에서 아이디어를 담아내 DS(부품)로 리턴해 주면 DS의 애플 해바라기형 사업구조도 개편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삼성 내의 세트사업부 마다 설계팀이 갖춰지면 내부파운드리 만으로도, 매각하지 못해 곤란한 처지에 빠졌다는, 8인치 웨이퍼 10만장 캐파 팹 하나 쯤은 충분할 것이다. 아예 8인치 팹을 세트사업부 또는 DMC로 넘겨도 될 듯하다. DS에서의 반도체 R&D팹과 DMC의 R&D 팹은 저 마다 다르게 운영될 것이다.
어쨋든, 애플 해바라기 보다는 DS와 DMC의 공조가 더 보기 좋은 것이다. 상호 윈윈을 가져올 수 있으니 DMC에서도 마다 할 이유가 없다. 09-22 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