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 문제가 끊임없이 대두되며 세계 금융시장을 흔들어 놓고 있다. 서브프라임 부실이 신용경색을 불러일으키고 이에 따라 조달금리가 높아지게 됨에 따라 차입인수(LBO: leveraged Buy Out) 시장을 얼어붙게 하고 있다. 또, 자금이 안전자산으로 몰리고 있다고도 한다.
조달금리가 높아지고, 안전자산으로 자금이 몰린다?
안전자산으로 자금이 이동한다는 것은 투자자들이 이자는 적게 받더라도 원금보전에 촛점을 맞추는 것이다. 여기에 서브프라임이 야기한 신용경색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신용투자 위험에의 거부반응이 나타나면서, 투자대상에 대한 검증이 강화되다 보니, 투자대상에 대한 투자자들 간의 경쟁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LBO 조달금리가 높아져서 세계 M&A시장 규모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안전자산를 선호하는 투자자와 신용투자를 하는 위험을 감수하는 만큼 이자를 더 받아야겠다는 투자자 사이의 커다란 갭이 보인다. 갈 곳없이 떠도는 자금이 늘어난다는 의미이다.
중간에 낀 투자자들의 투자 선택은 어떤 것이 될 것인가?
미국의 금리정책은 달러화 급락을 방어하는 측면에서 본다면, 앞으로도 계속 달러장사를 하기 위해서라면 금리를 인상시켜야 한다. 그런데, 서브프라임이 금리인상을 가로막고 있다. 금리를 올리는 순간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미국 서민들의 이자부담이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한 추가부실이 우려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서브프라임에 더해 알트-에이(Alt-A)모기지까지 확산되어 걷잡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그렇다고 유럽을 비롯한 세계 각 나라가 인플레이션 우려로 금리를 인상하는 분위기인데, 미국만 금리동결이나 인하를 하게 된다면 달러화 가치의 추가하락을 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일본의 선택도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엔화는 계속해서 일본에서 세계로, 아니 미국으로 계속해서 유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이 엔화를 팔고 달러를 계속 사야하는 것이다. 지금도 현재의 달러가치는 엔캐리트레이드 자금에 상당 부분 의지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미국이 이 난관을 극복하기 위한 선택은 투자 갭을 메우는, 미국내 매력적인 투자대상을 부각시키는 일이 될 터이다. 현재로선 그 대상이 미국 주식시장이 될 가능성이 높고, 또 어떤 투자대상을 잘 포장해 세계 투자시장에 내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포투가 보기에 미국의 이런 선택이든, 저런 선택이든 주식시장을 버리고 갈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안전자산과 투자 사이에서 방황하고 있는 투자자금을 미국에서 나가지 못하도록, 미끼를 계속해서 제시할 수 있어야 앞으로도 달러장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싼 돈 빌려 M&A하던 시대 저문다"-핌코 머니투데이 뉴스 보기
서브프라임 부실, 자동차 시장으로 확산 머니투데이 뉴스 보기